JAVA

자료형(데이터 타입) - 실수형

jiyoon12 2025. 4. 22. 00:10
  • L-value는 주로 할당(대입) 연산자의 왼쪽에 나타나는 표현식이이고 R-value는 "값 그 자체"를 나타낸다.
  • 즉, 실제로 값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. 예를 들어, int y = 20;에서 20은 R-value이다.
  • 오른쪽에 나타나는 값 또한 사실 메모리 어딘가에 저장해야 한다..
  • R-value는 값을 생성하므로, 해당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한다.
  • 값을 생성하려면 해당 값을 저장할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다.
  • 오른쪽에 정수를 사용한다면 4바이트 크기인 int 형의 데이터 타입이 사용이 되고 실수를 사용하게 된다면 8바이트 크기인 double 형의 데이터 타입이 사용된다.
package ch02;

public class DataType3 {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        // 데이터 타입 - 실수형
        // 수학적으로 정수가 아닌 숫자를 의미합니다.
        // 예를 들어 3.14, 0.5, 1.55

        // float, bouble

        // L value = R value
        float floatBox1 = 0.5f; // 접미사
        double doubleBox1 = 0.123;
        // 실수형의 기본 연산에 단위는 double 타입이다.

        // R value 기본적인 연산에 단위가 있다 (기본 연산 단위)

        long a = 2200000000L; // 정수형 기본 연산에 단위는 int 형이다.

        // 왜 실수형에서는 4바이트 float 기본으로 하지 않고 8바이트 double을 
        // 기본 단위로 사용할까?

    }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