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, 반드시 값이 초기화 되어야 하고 한번 초기화 되면 변경할 수 없게 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.
- 이러한 특징 때문에 원주율 3.14, 1년의 12개월, 최대 사용 가능자의 수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다.
- 자바에서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final 이라는 예약어를 사용한다.
package ch02;
public class Constant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int num = 10;
// 상수를 선언해보자.
// final 키워드를 사용하고, 변수명에 이름을 작성할 때 대문자 _(언더바를 사용해 준다)
final int MAX_NUM = 100;
// MAX_NUM = 1; 상수는 한번 값을 초기화하면 변경할 수 없다.
final int MIN_NUM; // 상수 선언까지는 가능하다.
MIN_NUM = 10; // 한번 초기화 된 상태가 된다.
//MIN_NUM = 20;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----");
// 원주율 상수 선언
final double PI = 3.14159;
// 원의 반지름을 상수로 선언
final int RADIUS = 5;
// 원의 둘레 계산해보자.
// 2 * PI * 원에 반지름
// = 2 * 3.14159 * 5
double num1 = 2 * PI * RADIUS;
System.out.println(num1);
// 원의 면적 계산 공식(반지름 * 반지름 * PI)
double area = RADIUS * RADIUS * PI;
System.out.println(area);
} // end of main
} //end of class
package Exercise;
public class RectangleAreaCalculator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상수를 선언해서 코드를 직접 만들어 보자.
// 사각형에 가로 길이 상수 선언
final int WIDTH = 10;
// 사각형에 세로 길이 상수 선언
final int HEIGHT = 20;
// 사각형의 면적 계산 식을 만들고 그 연산에 결과 값을 area 변수에 담아보자.
int area = WIDTH * HEIGHT;
System.out.println("사각형의 면적: " + area);
}
}
package Exercise;
public class TriangleAreaCalculator {
// 코드의 진입점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삼각형 면적을 구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자.
// 밑변 * 높이 / 2
final double BASE = 10.0;
final double HEIGHT = 5.0;
double area = (BASE * HEIGHT) / 2;
System.out.println("삼각형의 면적 : " + area);
} // end of main
} // end of clas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