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 파일에는 각각 고유의 형식이 있다. 웹에서는 웹에 맞는 형식인 *.html(또는 *.htm)로 문서를 저장해야 한다.
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HTML5를 지원하게 되면서 현재 HTML5의 공식 명칭은 ‘HTML’이다.
사용 중인 웹 브라우저가 HTML5를 얼마나 지원하는지 확인하려면 https://html5test.com/ 에서 확인하면 된다.
<HTML에 의미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.>
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입니다.
1. Hyper Text 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.
Hyper란 뛰어넘다 초월하다 의미를 가지고 있다.
text란 정보를 순차적으로 접근하며, 정보를 순차적으로 습득한다. (책)
하지만 뚜꺼운 책을 하나하나 넘기며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게 힘들다 (목차를 떠올려 보자)
Hyper Text 란
어떠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순차적인 접근 방식을 뛰어넘는다는 의미를 가진다.
2. Markup 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.
어디든 간에 Mark, 즉 표시를 해두는 것을 의미합니다.
표시가 없을 때
Html 이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입니다. 웹&앱 개발과정 A 강의장에서 강의 진행합니다.
표시가 있을 때
- 제목 : HTML 이란
- 내용 :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입니다.
- 위치 : 웹&앱 개발 423호 강의장에서 강의를 진행합니다.
보기가 편한 것은 표시(Mark)가 있을 때입니다
제목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, 본문은 어디부터인지, 내용은 어떤 것이지, 그리고 단락이 구분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 이 모든 것은 마크업 언어를 통해 구조적 표현이 가능합니다. 즉 문서를 구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이 마크업에 개념입니다.
웹 브라우저한테 마크업 언어를 사용해서 표현하는 이유
- 내가 만든 콘텐츠를 표현해 달라고 컴퓨터에게 명령을 해야 합니다.
- 문서 작성에 대한 협업과 유지 보수를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.
- 정보 수집을 하는 검색 엔진에게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합니다.
마크업 언어는 웹 브라우저에게 내 콘테츠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명령하는 언어이며, 함께 일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웹 크롤러라는 데이터를 긁어 수집하는 녀석들에게도 웹 문서 내의 데이터들을 구조적으로 표시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이다.
Language 란
컴퓨터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언어입니다.
결론
HTML, 즉 HyperText Markup Language는 웹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입니다. "HyperText"는 페이지 간에 링크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, "Markup Language"는 텍스트에 태그를 적용하여 그것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의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HTML은 웹 브라우저에 의해 해석되고 표시되며, 이는 사용자에게 웹페이지의 구조와 콘텐츠를 제공합니다. HTML은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 요소들은 태그라는 특정 문법 구조를 사용하여 표현됩니다.
- 실습코드 ch01/index01.html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!-- 브라우저 화면에 안보이는 영역 --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<!-- 브라우저에 보이는 영역 -->
<h1>Hello HTML</h1>
</body>
</html>
'HTML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멘틱 태그 (0) | 2025.05.28 |
---|---|
HTML 주요 body 내의 태그 (0) | 2025.05.28 |
HTML 속성이란? (0) | 2025.05.27 |
HTML 기본 템플릿 이해 (0) | 2025.05.27 |
HTML, CSS, JavaScript에 대해 알아보자. (0) | 2025.05.27 |